
가. 중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 실현 및 사교육 억제
나. 고등학교 입학 전형의 공정성 및 신뢰성 확보
다. 학교 설립 취지에 부합하는 고입전형으로 모두가 행복한 혁신미래교육 실현
가. 근거: 초·중등교육법 시행령 제76조의3~제88조
나. 학교별 전·후기 전형 구분
1) 전기 | 영재학교(서울과학고), 특수목적고(과학·예술·체육계열, 산업수요맞춤형고), 특성화고, 일반고 중 예·체능계고(서울미술고), 일반고에 설치한 학과 중 교육감이 정하는 학과(염광고 관악예술과) |
2) 후기 | 교육감 선발 후기고(일반고, 과학중점학급, 교과중점과정) 학교장 선발 후기고(특수목적고<외국어·국제계열>,자율형사립고, 일반고<예술·체육중점학급, 한광고, 한국삼육고>) |
다. 전기고등학교 입학전형
라. 후기고등학교 입학전형
마. 입학전형 기본계획 공고
- 학교장 선발 고등학교는 교육청과 협의하여 입학전형일 및 전형방법 등에 대해 조정할 수 있다.
가.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졸업예정자
나. 중학교 졸업자로서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자
다. 중학교 졸업자와 동등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(초·중등교육법시행령 제97조)로서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자
라. 다른 시도 소재 특성화중학교 및 전국단위 모집 자율학교로 지정된 중학교 졸업예정자 중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자
마. 예외: 학교별 전형요강에 의해 모집지역을 정하는 고등학교 경우는 출신중학교 소재지 및 거주지의 제한을 받지 않음
[참고] 학교 유형별 전·후기 구분 현황
구분 | 수 | 학교명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전기 (83교) |
영재학교 | 1 | 서울과학고 | ||
특목고 (13교) |
과학계열 | 2 | 세종과학고, 한성과학고 | ||
예술계열 | 6 | 국악고, 전통예고, 덕원예고, 서울공연예고, 서울예고, 선화예고 | |||
체육계열 | 1 | 서울체고 | |||
산업수요맞춤형고 (마이스터고) |
4 | 미림여자정보고, 서울도시과학기술고, 서울로봇고, 수도전기공고 | |||
특성화고 | 68 | 경기기계공고 등 68교 | |||
일반고 중 예·체능계고 | 1 | 서울미술고 | |||
일반고에 설치한 학과 중 교육감이 정하는 학과(관악예술과) |
(1) | 염광고 | |||
후기 (236교) |
교육감 선발고 |
일반고 | 209 | 경동고 등 209교 | |
과학중점학급 | (22) | 강일고 등 22교 | |||
교과중점과정 | (2) | 동성고, 숭문고 | |||
학교장 선발고 (27교) |
특목고 | 외국어계열 | 6 | 대원외고, 대일외고, 명덕외고, 서울외고, 이화여자외고, 한영외고 | |
국제계열 | 1 | 서울국제고 | |||
자율형 사립고 | 18 | 경희고 등 18교 | |||
예술·체육 중점학급 | (4) | 대원여고, 영신여고, 송곡여고, 송곡고 | |||
일반고 | 2 | 한광고, 한국삼육고 |
* 관악예술과 및 예술·체육·과학 중점학급, 교과중점과정의 학교 수는 후기고 학교 수에 포함
(※출처: 서울특별시교육청)